[ 아시아경제 ] 탄핵 정국 등에서 들쑥날쑥했던 여론조사가 최근 수렴 양상을 보이고 있다. 대선이 가까워지면서, 변수가 줄어든 결과라는 분석이 나온다.
8일 6·3 대선 관련 정치권 여론조사 흐름을 보면 조사의뢰자나 조사업체, 여론조사 방법 등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큰 틀에서 수렴 양상을 보인다. 최근 대선과 관련해 실시된 여론조사 8개를 분석한 결과 여론조사 결과는 대체로 유사한 패턴이 나타났다.
단일화 논의가 나오는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와 무소속 예비후보인 한덕수 전 국무총리 가운데 한덕수 전 총리 쪽으로 단일화됐을 경우,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는 47%~52.3%의 지지를 얻었다. 한 전 총리는 30%~36.2%, 이준석 개혁신당 대선 후보는 5%~8%로 나타났다. 김문수 후보로 단일화됐을 경우에는 이재명 후보가 48%~51.5%, 김문수 후보는 27%~33.1%, 이준석 후보는 5%~9.5%를 얻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재명 후보가 과반에 가까운 우위를 보이고 있다. 단일화 논의가 오가는 한덕수 후보와 김문수 후보 사이에는 3%포인트 내외의 간극이 확인되고 있다.
여론조사 방법에 따른 차이도 줄었다. ARS 여론조사가 전화면접에 비해 지지율이 높게 나오지만 차이는 크지 않았다. 가령 이재명 후보의 경우 한덕수 후보와 가상 대결에서 전화면접에서는 47%~50%인 데 반해 ARS방식의 조사의 경우에는 50.6%~52.3%로 조사되는 식이다. 김문수 후보와의 가상 대결에서도 전화면접에서는 48%~51%, ARS 방식의 조사에서는 50%~51.5%로 나타났다.
이처럼 여론조사 흐름이 같아지는 것과 관련해 홍형식 한길리서치 소장은 "처음에는 변수들에 따라 국민 판단에 대한 진폭이 크지만, 시간이 갈수록 정리가 되면서 그 영향이 줄게 된다"면서 "그 영향이 줄어들면서 조사 결과가 수렴되는 방향으로 나온다"고 설명했다.
나주석 기자 gonggam@asiae.co.kr
최신순
추천순
답글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