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경제 ] 전국 버스가 오는 28일 멈춰설 위기에 처했다. 통상임금을 둘러싼 서울 버스노사 간 교섭이 결렬된 가운데 전국자동차노동조합연맹 산하 22개 지역별 버스노조가 임금단체협약 협상이 타결되지 않을 경우 총파업을 예고했다.
9일 전국자동차노조연맹에 따르면 서울, 부산 등 22개 지역별 산하 버스노조는 전날 전국대표자회의를 열고 이같이 결정했다. 이들은 오는 12일 동시 조정을 신청하고 15일간의 조정 과정을 거친 뒤에도 협상이 이뤄지지 않을 경우 28일 첫차부터 동시 파업에 돌입하기로 했다. 파업이 현실화하면 시내버스뿐 아니라 고속버스, 마을버스 등까지 파업에 동참해 4만대가량의 버스가 운행을 중단할 수 있다.
자동차노련 관계자는 "조정 절차가 끝난 곳은 서울뿐으로, 나머지 지역은 조정 신청을 이제 해야 하는 단계"라고 했다. 조정을 신청하면 지역별로 조정 회의가 열리고, 조정 기한이 가까워질 즈음 쟁의 찬반 투표가 진행될 전망이다.
전국 버스노조가 '동시 파업'을 꺼내든 배경에는 통상임금을 둘러싼 시내버스 임단협이 서울시에서 수용될 경우 다른 지역에도 선례가 될 수 있다는 위기감이 있다. 서울 버스노조 관계자는 "보통 임단협을 할 때 서울이나 부산에서 (안이) 올라가면 그것을 타 지방자치단체에서 그대로 적용한 적이 많아서 이것이 서울만의 문제가 아니라는 것에 위기감을 느끼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자동차노련 산하 22개 버스노조는 이번 교섭 과정에서 통상임금 문제가 교섭이 아닌 사법기관에서 해결할 문제라는 점을 분명히 하기로 했다.
이미 조정을 거쳐 쟁의권을 확보한 서울 버스노조는 오는 27일까지 준법 운행을 유지할 방침이다. 노조는 "만약 (서울시·사측이) 성실하게 교섭에 임하지 않거나, 통상임금을 포기하라는 일방적인 요구를 계속하는 등 교섭을 거부한다면 28일이 오기 전이라도 일부 파업 등에 돌입하며 쟁의행위 수위를 높여나갈 것"이라고 했다.
김영원 기자 forever@asiae.co.kr
최신순
추천순
답글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